
정보 설계 1. 정보구조 설계 학습 목표 결정된 콘텐츠와 기능에 따라서 정보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1. 정보구조 설계에서의 모호성 분류 시스템은 언어 기반 위에서 성립되는 것이며, 언어는 하나의 단어로 여러 가지 뜻을 나 타내는 경우가 많다.‘배’라는 단어도 먹는 배와 타는 배 그리고 사람의 배와 같이 다양한 뜻이 있다. 이와 같이 단어의 모호함은 정보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불안정한 요 소로 작용한다. 홈페이지에서 우리는 정보의 그룹을 설명할 때 대부분의 경우 단어를 사용해 서 표현을 하는데, 이런 언어의 모호함으로 이용자에게 혼돈을 줄 수 있으며 이런 문제들이 홈페이지 전체에서 일어난다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정보를 분류할 때는 이런 모호 성을 충분히 염두에 두고, 되도록이면 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학습목표 • 사용자의 니즈(needs)와 제공하는 콘텐츠 간의 갭(gap)을 분석할 수 있다. • 갭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 갭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결정한 콘텐츠 방향성에 따라서 주요 콘텐츠 수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파편화되고 불명확한 방대한 정보를 논리적이고 응집력 있는 그룹 으로 조직화하고 분류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의 결과물로는 제한된 그룹의 수이며, 기대하 는 목적은 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문제를 좀 더 이해하는 것이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활용 유형 (크게 3가지 유형에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활용한다.) 아이디어 도..

기능(Feature) 리스트 도출 학습목표 • UI 설계를 위하여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기능을 도출할 수 있다. • 도출된 기능에 대해서 우선순위 기준을 수립하여 주요 기능을 선별할 수 있다. • 우선순위 기준에 의해서 선별된 주요 기능의 상세한 내역을 작성할 수 있다.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 MVP는 리스크나 투자 대비 최적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에게 핵심적인 기능을 최소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정의하는 방식이다. 해당 용어는 프랭크 로빈슨(Frank Robinson) 이 정의하였고, 스티브 블랭크(Steve Blank)와 에릭 리이스(Eric Ries)가 대중화시켰다. MVP는 무조건적으로 적은 기능만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가..

UI/UX 콘셉트 도출하기 학습목표 • 도출된 아이디에이션(Ideation)의 프로토타입 검증 결과에 따라서 확정된 UI/UX 콘셉트를 결정할 수 있다. • 도출된 UI/UX 콘셉트를 반영하여 목표 고객인 페르소나(persona)를 추출할 수 있다. • UI 설계를 위해서 UI/UX 콘셉트에 적합한 시나리오(scenario)를 작성할 수 있다. 페르소나(persona) 페르소나는 사용자의 목적(goals)과 행동(behaviors)을 대표하는 실제 타깃 사용자 그룹을 가상의 캐릭터(artificial person and archetypical users)로 형상화하는 목적 지향적인 (goal-directed) 인터랙션 디자인의 방법이다. 핵심적인 캐릭터의 구성요소는 니즈 (motivations and n..

HTML5의 입력양식 태그의 새로운 속성값 알기!! 속성값 설명 color 색상 선택 창을 만든다. datetime 날짜 시간 창을 만든다.(년, 월, 일, 시, 분, 초의 분할)표준시간 datetime-local 날짜 시간 창을 만든다.(년, 월, 일, 시, 분, 초의 분할)표준시간 없음 email email 주소 창을 만든다. month 달과 년도의 창을 만든다.(표준 시간 없음) number 숫자 입력을 위한 창을 만든다.(숫자 제한을 둘 수 있음) max(최대값), min(최소값), step(허락하는 숫자 간격), value(기본값) range 정확한 값이 중요하지 않는 숫자를 입력하는 창을 만든다. search 검색창을 만든다. tel 전화 번호 입력 창을 만든다. time 시간 입력창을 만든다..

외부문서삽입 - iframe 웹페이지에 다른 웹페이지를 삽입하는 방법인 아이프래임은 참 편리하면서도 위험한 방법입니다. 왜냐면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서 악성코드 같은 것을 포함하고 있다면 삽입된 외부소스에서 악성코드가 실행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HTML의 최신 버전인 HTML5에서는 샌드박스라는 것을 도입했습니다. 아이프래임으로 삽입된 웹페이지에서 자바스크립트 등이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인데요. 아이패래임이 무엇인지, 사용법, 그리고 보안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합니다. iframe 태그 알기 클릭 ※보안방법 - iframe 태그에 "sandbox"라는 속성을 추가하여 위험한 소스는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 "보안"은 매우 중요합니다. 후에 더 정확히 숙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