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학습목표
- 인식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검사항목 중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을 이해하고 콘텐츠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지시사항 항목을 이해하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배경음 사용 금지 항목을 이해하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의 이해
차트나 그래프와 같은 데이터의 종류와 결과를 색상으로만 구분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보를 구분하는 구별점은 색상으로만 하지 않고, 색을 배제하더라도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입니다.
1-1. 색에 무관한 곤텐츠 인식의 필요성
검사항목 3 :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은 색맹, 색약, 저시력 등의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나 고령자 같이 색상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시력이 약한 사용자를 위해 색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1-2.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의 검사항목해설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은 그래프나 차트와 같은 도식 유형에 적용하던 검사항목이나, 현재의 페이지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는 페이지 네비게이션, 필수 입력 항목 등과 같이 주로 색상만으로 구분하는 모든 요소에 적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색상뿐만 아니라 무늬와 같은 패턴, 외곽선 또는 주변 정보를 통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상 적록색맹이나 녹내장 등 다양한 시각장애인의 유형에 따라 색상만으로 구분해도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전경과 배경의 명도 차를 준다면 가능한 지표지만 평가 측면에서 볼 때 평가자의 시력 차에 따라 다른 결과 값이 나올 우려가 있기때문에 명도 차에 대한 색상 구분 항목은 따로 두지 않습니다.
1-3. 색에 무관한 콘텐츠 제공방법 _ 오류유형
기준 : 색을 배제하여도 해당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1. 색상만으로 내용을 분별하도록 제공된 콘텐츠(그래프,차트,지도 등) : 색상만으로 내용을 분별하도록 제공된 콘텐츠는 비장애인의 경우 색상만으로 각 해당 영역의 범례 정보를 인식할 수 있지만, 색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영역의 범례 정보를 인식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색의 구분은 보조적으로 제공하고, 명확한 수치 파악을 위해 보조선 및 범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페이지 네비게이션, 메뉴, 현재 위치 등에 대해 명암, 패턴 등의 변화 없이 색상의 변환만으로 현재의 위치를 표시한 경우 : 색상 뿐만 아니라 체크 표시를 해준다면 해당 위치를 인식하기에 용이할 것입니다.
3. 필수 입력 항목을 색으로만 표시한 경우 : 색상으로 구별한 정보에 체크표시를 해 색상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패턴을 통해 필수입력 항목을 구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콘텐츠에 한정해 적용하는 것
- 무엇을 지시하는지 명확하게 하기 위해 모적이 분명한 지시가 되어야 하는 것
- 특정 감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른 감각을 통해서도 지시사하을 인식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
2-1.명확한 시지사항 제공의 필요성
명확한 지시사항의 제공 목적 : 검사항몽4(명확한 지시사할 제공) _ 특정한 감각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지시괸 내용을 제대로 실행 할 수 있도록 함.
2-2.명확산 지시사항 제공의 검사항목 해설
시각 정보를 이용한 지시나 청각 정보를 이용한 지시는 서로 보완할 수 있는 타 감각과 함께 지시하여 우회적인 방법이며, 링크텍스트의 내용과 똑같이 대체텍스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시각장애들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3.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의 검사항목 해설_기준
지시사항 정보를 특정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감각을 통해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2-4. 명확한 지시사항의 제공방법 _ 오류 유형
1. 색, 크기,모양,방향 등으로만 정보를 제공한 경우 : 목적이나 용도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2. 전달하고자 하는 지시사항을 소리로만 정보를 제공한 경우 : 청각장애나 스피커가 없는 사용자에게는 파악할 수 없는 콘텐츠를 시각적으로도 확인 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3.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명도란? 물체의 색이나 빛의 색이 지니는 밝기의 정도
명도 대비의 개념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간의 차이
-4.5대1 이상을 권장
3-1.텐스트 콘텐즈의 명도 대비의 필요성
텍스트 콘텐스의 명도 대비의 목적 : 검사항목5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시력이 약한 사용자를 위한 지침으로 최소한의 명도 차이를 둠으로써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
3-2.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의 검사항목 해설
본문 콘텐츠에 대해서만 적용
- 검사 적용 예외
- 단순히 장식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텍스트
- 로고 또는 상호와 같은 텍스트 이미지
- 마우스나 키보드를 활용하여 초점을 받았을 때 색이나 명도 대비가 변화하는 콘텐츠
- 사용할 수 없음을 표시하기 위하영 명도 대비를 낮춘 회색의 컨트롤이나 입력 서식등
3-3.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제공방법
기준 : 웹페이지 콘텐츠에 텍스트, 이미지 텍스트 정보에 대해 폰트의 크기가4.5:1이상(18t이상), 굵은 14pt 이상은 3:1이상의 명도 대비를 제공하는 경우 단, 화면 확대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텍스트(텍스트 및 텍스트 이미지)의 명도 대비가 3:1(삼대 일)까지 준수로 인정
3-4.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제공방법_오류 유형
1. 텍스트의 규격 정보가 있으며, 보통 크키(18pt미만, 또는 굵은 14pt 미만)의 텍스트가 4.5:1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2. 텍스트의 규격 정보가 있으며, 텍스트 크기가 18pt 이상 또는 굵은 14pt 이상의 텍스트가 3: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3. 이미지 텍스트의 경우 폰트 종류와 상관없이 14pt크기에 해당하는 18.66px미만인 경우 4.5:1이상이거나, 18.66px이상인 경우 3:1이상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3-5.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제공방법_주의 사항
4. 자동재생 금지
배경음의 개념 : 페이지에서 배경으로 제동되는 음성 정보
1.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음
2. 배경음을 3초 미만으로 사용
4-1 자동 재생 금지의 필요성
자동 재생 금지의 목적 : 검사항목6(자동 재생 금지)
배경음으로 인해 화면낭독기의 음성이 방해받지 않게 하여 웹 콘텐츠를 인식 가능하도록 함
4-2. 자동 재생 금지의 검사항목 해설
배경음이 자동으로 재생되지 않도록!!
- 3초 미만
- 배경음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웹 페이지의 첫 부분에 제공
4-3.자동 재생 금지의 제공방법
기준 : 배경음 사용하지 않았거나 3초 이내 또는 바로 정지할 수 있는 배경음 콘텐츠를 사용한 경우
4-4. 자동 재생 금지의 제공방법_오류 유형
1. 웹 페이지에서 자동적으로 재생되는 3초 이상의 배경음 (동영상, 음성,음악 등)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2. 마우스 오버 또는 키보드 초점을 받아 자동적으로 배경음이 3초 이상 실행되는 경우
4-5.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제공방법_주의 사항
모든 자료 출처: 배움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