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학습목표
- 이해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검사항목 중 기본 언어 표시를 이해하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항목을 이해하고 콘텐츠를 제공 할 수 있다.
1.기본언어 표시
기본언어의 개념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함
기본언어(웹사이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_명시
- 화면 낭독기 : 해당언어의 정확한 발음으로 콘텐츠 이해에 도움
- 음성 지원 소프트 웨어 : 해당언어의 정확한 발음으로 콘텐츠 이해에 도움
기본언어 표시의 필요성
목적
다양한 언어 공부를 공부하거나 이용하는 사용자에세 중요한 지표
기본언어 표시의 검사항목 해설
검사항목17(기본 언어 표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
- 중간에 언어가 바뀌는 경우 lang 속석을 통해 언어를 바꿔주면 더 이해하기 좋은 사이트가 됨
- 기본언어 표시는 화면 낭독 프로그램과 같은 보조기기에서 기본 언어에 맞는 TTS(Test to Speech)엔진 가동시키는 역할을 함
기본언어 표시 제공 방법
웹 페이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html>에 lang 속성을 사용하여 제공한 경우 준수 한 것으로 인정
- 오류유형 분석
- (가)<html>에 lang 속성을 명시하지 않거나 잘못 명시한 경우
- 주의 사항 분석-1
- 기본 언어는 페이지 상단에 html 태그에 lang속성을 이용하여 지정하고, lang의 속성 값에는 ISO 639-1에서 두 글자로 언어 코드를 사용 해야 함
- 주의 사항 분석-2
- 페이지 중간에 언어가 바뀔때 변경된 언어를 lang 속성으로 명시해 주는 것을 권장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이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은 실행되지 않아야 함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의 필요성
-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새창이나 초점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함
- 해당 사항이 발생할 경우 사전에 내용을 알려주어 콘텐츠 움직임에 문제 없게 하고, 콘텐츠 이용에 이해를 높임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의 검사 항목 해설
검사항목18.(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새 창, 초점 변화 등)은 실행되지 않아야 함
- 상기 항목을 오류 없이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해 제공 방법
- 요류 유형 분석
- (가)사용자가 실해하지 않은 상황에서 예측하지 않은 새 장이 열리는 경우
- (나)버튼 또는 링크 등을 실행할 때 사전에 알리지 않고 새 찬이 발생되는 경우
- (다)웹 사이트 초기화면에 팝업(레이어 팝업)을 제공하는 경우
- (마)체크상자의 선택, 텍스트 입력 서식의 값 변경만으로 값이 제출되어 문맥이 바뀌는 경우
- 주의 사항 분석
댓글
© 2018 webstory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