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웹 접근성

01.웹접근성의 이해

ppiggyfly 2019. 5. 31. 18:15

- 웹 접근성의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다
- 웹 접근성의 정확한 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 웹 접근성에 대한 관한 용어를 구분할 수 있다.

웹 접근성이란?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이다.

 

  • 웹 접근성의 중요성

    누구나, 어떠한 기술 환경에 구애 받지 않음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적용하는 모든 정보

     

  • 웹 접근성 준수 고려 사항

    - 시각 : 실명, 색각 이상,다양한 형태의 저시력을 포함한 시각 장애
    - 이동성 : 파킨슨병, 근육병, 뇌성마비, 뇌졸중과 같은 조건으로 인한 근육 속도 저하,근육 제어 손실로 말미암아 손을 쓰기 어렵거나 쓸 수없는 상태
    - 청각 : 영상, 음성 콘텐츠에 자막,원고, 수화등의 대체수단 부제로인한 인식이 불가능한 상태
    - 인지 : 문제 해결과 논리 능력, 집중력,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정신 지체 및 발달 장애, 학습 장애(난독증, 난산증 등)

웹 접근성의 범위

장애인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호의 비장애인, 모든 사용자 계층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운영체제, 다양한 신기술 등에서 접근이 용이한 기기 호환 등의 환경까지 다루어야 하는 것 이다.

 

웹 접근성의 적용 범위는 현재와 달리 향후에 조금씩 넓어져서 ‘넓은 의미’의 기대효과만큼 적용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웹 접근성의 관련 용어1

Active X 를 사용하는 것이 웹 접근성에 위배 되는 가는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 에서 각각 다르므로 용어의 정의를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

 

웹 접근성의 넓은 의미 :

기본적인 정의 기대효과를 말한다.

즉, 웹 접근성을 준수하면 다양한 기술 환경에서 접근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Active X(MS 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를 사용한다는 것은 윈도우 환경에 IE 브라우저에 종속시킨다는 의미가 되므로 사실상 다양한 기술 환경에 접근이 불가하여 웹 접근에 위배 된다고 볼 수 있다.

웹 접근성의 좁은 의미 :

장애인 접근성 중심(실제 적용되는'웹 접근성의 지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까지는 Active X 를 사용하더라도 시각장애인등 다양한 장애유형별 사용자들이 이를 키보드로 이용가능하고, 대체수단을 통하여 음성 지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다면 웹 접근성을 준수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웹 접근성의 관련 용어2

웹 표준(웹 기준 표준)이라 함은 웹에서 정한 기술표준으로 W3C와 같은 표준화기구에서 승인한 개방형 인터넷 표준을 의미한다. 즉, 웹 기술에 대한 표준 규격을 공통의 약속으로 정해놓은 것을 말하는 것이다.

 

웹 표준
- 좁은 의미: '웹 화면을 구성하는 기술에 대한 표준규격’을 의미 한다. = 웹 표준이 아님
- 넓은 의미: '웹 화면을 구성하는 기술에 대한 표준규격’을 의미 한다. = 웹 표준

 

웹 표준 준수 표준을 준수하면 표준규격을 지원하는 브라우저에 의해 기본적인 호환성을 보장받습니다. 다만 특화된 일부 기능 또는 스타일에 있어서는 완벽한 호환을 이룰 수 없습니다.

 

  • 표준 방식 호환성
    - 약속된 표준에 의해 서로 다른 종류 기기들이 호환 (ex-220v 전기코드)
    - Active X 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노력
  • 비표준 장식 호환성
    - 비표준에 대해 상호 호한이 가능하도록 함 (ex-어댑터)
    - Active X, 대체기술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전자 정부 웹 호환성 지침
웹 호환성은 지침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와 같이 행정기관이 국민을 대상으로 서비스하고자 하거나 하고 있는 전자정부 서비스 등의 웹사이트를 사용자인 국내외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이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드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 지침에서 운영체제를 제시하지 않는 이유는 현재의 운영체제들이 서로 그 태생 자체가 달라 호환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웹 호환성 : 전자정부 호환성 준수지침’에 의하면 웹 호환성은 ‘크로스 브라우징’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그러나 좀 더 넓은 의미에서의 ‘웹 호환성’은 크게 웹의 입장에서 볼 때 주요 플랫폼인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 그리고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까지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웹 오픈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
유니버설 디자인은 별도로 개조하거나 특별히 설계하지 않아도 모든 사람들이 최대한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진 제품과 환경에 대한 디자인을 의미한다. 유니버셜 디자인의 철학은 그 대상을 모든 사람들 또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로 규정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그래서 무장애 디자인(Barrier-free Design)이나 접근 가능한 디자인(Accessible Design)처럼 장애인, 고령자 등 특정 게층만을 향하지 않는다. 유니버셜 디자인은 보편성에 가치를 두고 있다. 특정 핸디캡만을 극복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이미 특별한 디자인인 셈이다. 현실적으로 어떤 제품이나 환경도 모두를 만족시킬 순 없다. 만약 모두가 만족하는 제품이나 환경이 있었다면 유니버셜 디자인은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유니버셜 디자인은 달성해야 하는 목표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모든 자료 출처: 배움나라

댓글
© 2018 webstoryboy